충남 전체의 32% 소멸위기 마을
충남 전체의 32% 소멸위기 마을
  • 양태권 기자
  • 승인 2024.03.26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연구원 윤정미 박사, 마을소멸지수 자체 개발
변별력있는 농촌마을 실태 정보 제공을 통한 정책 결정 지원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충남 농촌마을(행정리) 소멸 실태 ⓒ충남연구원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충남 농촌마을(행정리) 소멸 실태 ⓒ충남연구원

최근 충남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마을소멸지수를 활용해 충남 전체 4,394개 행정리 중 소멸위기마을이 1,408개(총 32%)로 나왔다고 밝혔다.

기존 지방소멸위험지수가 읍·면·동 중심의 지표라면 마을소멸지수는 농촌마을(행정리)을 대상으로 한 지표라는 점이 다르다. 지방소멸위험지수를 충남농촌마을에 적용할 경우 거의 모든 마을이 ‘소멸위험지역’(약 91%)으로 도출되면서 관련 정책을 마련하는데 변별력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는 의미다.

연구책임자인 충남연구원 윤정미 선임연구위원은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농촌마을(행정리) 소멸 실태 및 정책과제”를 주제로 제작한 정책지도 제41호에서 “우리나라는 인구 감소, 저출생 및 고령화 등으로 지방소멸 위기가 현실로 닥쳐왔다”며 “마을소멸지수는 지방소멸위험지수에서 사용한 △자연적 인구 증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구 증가 요인(전입인구수) △마을소멸속도 조절(인구 구간별 가중치) 등의 지표들로 구성되어 보다 농촌현실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을소멸지수는 고위기, 위기, 진입, 보통, 낮음, 매우 낮음 등 총 6개 단계로 세분화하여 마을소멸을 구분하고 있다.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결과, 충남 15개 시·군의 소멸위기마을(마을소멸 고위기+위기)은 총 4,394개 중 1,408개로 32%에 해당한다. 마을소멸 진입단계까지 포함하면 62.1%로 나타났다. 이는 행정리 마을이 없는 동지역은 분석에서 제외된 결과다.

시·군별로는, 서천군이 63.5%로 소멸위기마을 비중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여군 56.4%, 홍성군 4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지역은 계룡시 2.8%, 천안시 11.8%, 아산시 12.7%였다.

윤 선임연구위원은 “충남 농촌마을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핵심은 농촌의 공간적·기능적 재편과 사람 중심의 활력 되살리기 정책이라 말할 수 있다”며 “고령자 돌봄, 의료 사각지대 해소, 생활(관계)인구 확보, 도시와 농촌의 소통, 정주여건 개선 및 일자리 창출 등에 기반하여 단계별 마을소멸지수에 맞는 맞춤형 대응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