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청식 홍성·예산 예비후보, 충남대 의대·대학병원·농업생명대 이전 유치 추진
어청식 홍성·예산 예비후보, 충남대 의대·대학병원·농업생명대 이전 유치 추진
  • 양태권 기자
  • 승인 2024.01.10 0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충남만 차별받는 현행 법령 개선할 것”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 요구 및 고등교육법 개정, 국립학교법 추진
충남도 추진 중인 병원 설립 및 법령 개정은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비판
어청식 홍성·예산 국회의원 예비후보(무소속) ⓒ백제뉴스
어청식 홍성·예산 국회의원 예비후보(무소속) ⓒ백제뉴스

어청식 홍성·예산 국회의원 예비후보(무소속)가 9일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제3호 공약으로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 요구 및 고등교육법 개정 또는 국립학교법을 제정해 홍성·예산·내포 지역에 충남대 의대 및 대학병원 유치, 농업생명대 이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어 후보는 “현행 국립학교 설치령을 보면 전국 모든 지역의 대학은 명칭에 맞는 소재지를 둘 수 있지만, 충남대만 대전시와 세종시에 둘 수 있도록 제한돼 충남만 차별받고 있다”며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을 교육부에 강력히 요구하고 교육부가 미온적으로 대처한다면 차제에 국립학교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강력히 노력하고 요구해 관철된 개정된 법령도 여전히 충남대의 주된 위치를 대전시와 세종시로 제한하고 있다. 다만 예외로 대학 총장이 요청하고 교육부 장관이 동의한 후, 타당성 심사까지 받으면 대전시·세종시 외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미봉책 법령”이라고 지적했다.

어 후보는 “교육부가 선제적으로 충남대의 주된 위치를 충남을 포함하여 법령을 바꾸든지, 아니면 아예 국립학교법 제정을 추진하여 국립대학의 소재지를 상위법으로 국회가 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제도 정비를 마치면 충남대 의대와 종합병원, 농업생명대를 홍성·예산·내포지역으로 이전할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청식 후보는 충남도가 현재 명지의료재단과 추진하고 있는 내포 종합병원 설립과 공주대 공공의과대학 신설은 도민의 의료 서비스요구 수준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반대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어 후보는 “충남 서부권 주민들이 원하는 병원은 오랜 기간 축적된 의료데이터와 실력, 대학교수급 전문의와 전문의를 자체적으로 키우는 수준의 상급종합병원을 원하는 것”이라며 “기존 서부권의 의료시설과 큰 차이 없는 수준의 병원을 세운다면 추후에 다시 대학병원급 병원을 유치하려고 비용과 시간, 노력을 들이게 될 것으로 본다. 처음부터 충남대 의대 또는 타 대학병원급 유치를 목표로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충남대 농업생명대 이전에 대해 “홍성·예산은 전국에서 쌀, 축산, 과수, 원예 등 거의 모든 농업 분야의 최고 수준의 생산지이자, 충남농업기술원이 예산에 자리하고 있어 충남대 농업생명대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키우고 자연스럽게 산학협력도 이룰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어 후보는 농업생명대 이전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통폐합 논의와 연결해 공주대 산업과학대학(예산캠퍼스)과의 통합의 일환으로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어 후보는 또 “충남대의 농업생명대가 이전하게 되면 충남대는 농업생명대가 차지하고 있던 부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돼, 앞으로 충남대는 물론 대전 지역의 경제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대전과 충남대, 충남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밝혔다.

어청식 예비후보는 타 후보의 공약 및 정책에도 날을 세웠다. 어 후보는 국민의힘 소속인 홍문표 의원과 강승규 후보에 대해 “홍문표 의원은 힘있는 중진 현역의원임에도 그동안 이 법령개정 문제에 대한 노력이 부족했다는 것이 아쉽다. 또 강승규 후보가 내세운 원격진료, 의료인 확충 등의 공약은 의료민영화 논란만 불러일으킬 뿐, 상급종합병원을 원하는 홍성·예산 군민들의 요구에는 다소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김학민 후보의 지방재정 분권을 통한 대학 및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공약에 대해 “재정지원과 세제혜택만으로 대학과 기업이 입지선정을 하지 않는다. 단순 지방세 깎기 경쟁은 특별경제자유구역이 있는 지자체와의 경쟁에 늘 밀릴 수밖에 없다. 이는 경제전문가인 김 후보가 더 잘 알 것”이라며 “오히려 지역의 특색과 비교우위, 제도적 해결책으로 그에 맞는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