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지표조사 재실시하라
문화재 지표조사 재실시하라
  • 김종술 기자
  • 승인 2010.07.21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대강 살리기로 사라질 금강에 문화재

공주·부여 사람들은 우스갯소리로 땅만 파면 유물이 나온다고 한다. 그만큼 역사적문화의 활동이 왕성했다는 증거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은 발굴을 가장하여 우리의 문화유산을 도굴해갔다. 6·25전쟁을 겪으면서 우리의 문화재가 파괴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백제의 문화유산은 그동안 무령왕릉에서 보았듯이 큰 실수를 했고 한국의 고고학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한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질적인 성장에 대해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한국의 발굴역사는 학문적 요구보다는 마구잡이식 난개발의 부수입에 불과했다.

학자들은 ‘땅속에 있는 유물은 그대로 두는 것이 최고의 보존방법이다’고한다. ‘몇 천년, 몇 백년 동안 땅속에서 안정화되어있는 유물을 갑자기 다른 환경에 노출시키면 유물이 훼손되기 때문이고 발굴기술이 향상된 후에 해도 늦지 않는다‘ 고 말한다.

4대강 살리기 전체 조사면적 291.3백만㎡에 달하는 지역을 각 권역별로 나뉘어 23개 기관에서 1달반 만에 육안으로 조사를 마쳤다는 얘기는 누구도 수궁하지 못할 것이다. 더욱이 자문위원 중 일부는 공무원(국립박물관, 문화재청)이 포함되어 있고, 문화재위원회는 2009년 3월과 5월, 단 2차례 개최하여 심의했다는 것은 부실심의로 볼 수 있다.

청계천 발굴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문화유적이 없을 것으로 단정했다. 그러나 청계천 바닥에서 조선시대 건축물(교각, 교대유적), 엽전, 각종생활유적, 토기 등 조선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쏟아졌다. 우리의 강에는 초등학교 교과서부터 대학교교재까지 기술되어 있는 수천수만 년 동안 켜켜이 퇴적되어 있는 선사유적(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유적)이 존재한다.

특히 종교유적의 경우는 수행경관까지 문화재영향권에 포함하여 피해사실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어야하지만 현재는 아무런 조사와 대책이 없이 수행경관은 모두 훼손되기에 이르렀다. 아울러 강 주변의 삶에 대한 기억과 전통놀이와 관련된 무형의 문화유산과 마을마다의 전통적 행사는 파악도 못하고, 천연기념물 역시 나무 종류만 파악되었고 조류와 어류, 동식물은 조사도 하지 않고 있어 훼손과 파괴는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결국에는 인간에 탐욕으로 강과 더불어 살아오고 살아갈 무수한 다른 생명들이 사라지게 될 것이다. 지금이라도 문화재청은 문화재조사를 광범위하게 실시하여 우리의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오류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