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북한지역 3·1운동 사적지 전수조사 최초공개
독립기념관, 북한지역 3·1운동 사적지 전수조사 최초공개
  • 이순종 기자
  • 승인 2019.02.13 0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제뉴스
ⓒ백제뉴스

독립기념관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북한지역 3·1운동 사적지 전수조사 결과를 최초로 공개한다. 

북한 전역에 걸친 3·1운동 사적지 전수조사 성과를 공개하고, 남북공동 현지 학술조사를 촉구하기 위해 13일 오후 2시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아이비홀에서 학술포럼을 개최한다.

독립기념관은 3·1운동 100주년을 대비하여 2016년부터 3개년 사업으로 북한 전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일제 탄압자료인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3.1운동 참여자 판결문 등을 토대로 사적지 조사를 시행하여 작년 12월 사업을 마무리했다.

그 결과 해서지방(황해도) 158개 소, 관서지방(평안도) 215개 소, 관북지방(함경도) 281개소를 비롯하여 경기·강원 양도 북한 편입지역 158개 소(경기 75, 강원 83) 등 문헌상으로 적어도 812개소의 3·1운동 사적지가 북한지역에 산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를 형태별로 나누면 만세시위 현장인 ‘거리’ 475개 소(교량 등 기타 5개 소 포함)와 ‘산야’ 16개 소를 비롯하여 시위군중의 파괴 대상인 면사무소, 경찰주재소, 우편소 등 일제의 탄압기관이 주가 되는 ‘건물’ 244개 소, 그리고 거사 주역들이 시위를 계획하던 거주 ‘가옥’ 77개 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그 중에는 사천(평남 강서군, 일명 모락장), 맹산(평남 맹산군), 성진읍(함북 성진군), 해주(황해도), 송도(경기도 개성군) 등 북한지역의 대표적, 특징적 만세시위 사적지도 포함되어 있어 적어도 문헌상으로나마 그 구체적 장소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번 북한지역 3·1운동 사적지 전수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3·1운동 100주년을 기념 남북공동 학술교류사업의 일환으로 북한지역 현지 남북공동조사를 관계 당국에 제의할 방침이며, 학술교류 차원에서 사적지 조사보고서를 북한 당국에 제공할 계획으로 있다.

계획, 추진하는 북한지역 3·1운동 사적지 남북 공동 조사사업은 온 겨레가 함께 참여했던 독립운동의 상징적 거사인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그 정신과 의의를 기리고 남북화해 분위기 조성과 동질성 회복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는 뜻깊은 행사의 하나가 될 것이다.

이번 학술포럼에서는 조사를 시행한 권역별로 각 지역의 사적지 조사범위와 기준, 분포 현황, 유형별 특징 등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독립기념관은 3·1운동에 이어 항일의병(2019년 시행) 사적지를 비롯해 계몽운동, 학생운동, 농민(노동자)운동 등 다른 독립운동 분야에 대해서도 북한지역 사적지 전수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남북 화합과 통일에 기여할 역사자산으로 축적할 계획이다.